안 사려 했었다. 처음 훑어 본 ‘메모 습관의 힘’은 메모 관련 앱과 도구들을 보여주는 도서처럼 보였다. ‘또 뻔한 소리 하나보다.’ 하고 넘겼다. 그러나 주말에 우연히 들른 서점에서 다시 이 책이 눈에 들어왔다. 한 번 훑어 봤던 책인데 다시 손에 들고 보았다. 그땐 뭔가 달랐다. 그 뭔가가 뭔지는 모르겠는데 뭔가 달랐다. 그래서 집 근처 서점에서 구매하게 되었다.
생산할 것이냐, 소비할 것이냐
‘메모 습관의 힘’에서 내가 많은 깨달음을 얻었던 부분은 정보의 생산자, 소비자 부분이다. 내 삶을 돌아봤을 때 어떠했는가! 나는 지극히 정보를 소비했던 입장이다. 누군가가 생산한 정보를 그대로 받아 들이며 ‘그렇다더라’ 라고 외치던 소비자였다. 안타까운 점은 이것이 단순한 정보뿐만 아니라 내가 현재 하고 있는 업무에서도 나타난다는 점이다.
전 직장에 팀장님께서 자주하시던 말씀이 있었다. ‘15년 경력인데 정작 내가 만든 건 아무것도 없다. 정말 평생 갖다 쓰다 끝나겠다.’ 신입 개발자였던 나에겐 정말 크게 다가오는 말씀 이었다. 현업에서 오래 있으면 정보의 생산자가 될 수 있다고 생각했다면 오산이란 말이다. 스스로 생산자가 돼야겠다고 마음 먹고 행동해야 정보의 생산자가 될 가능성이 생기는 것이다.
정보의 생산자가 되는 것이 왜 중요할까? 바로 생산자가 곧 이끄는 자 이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소비자는 언제나 생산자의 뒤를 따를 수 밖에 없다. 업계를 이끌고 더 나아가 세상을 이끌고 싶다면 생산하는 집단에 들어가야 한다. 말은 엄청나 보이지만 저자 말대로 이 큰 일은 작은 메모에서부터 시작 된다. 어렵지 않다. 꾸준히 적으면 된다.
업무를 처리하는 능력은 업무 계획서부터
나는 언제나 일찍 출근하는 편이다. 보통 출근 시간보다 2시간 일찍 출근하여 공부를 하거나 책을 읽는다. 업무 시작 30분 전에 그날 할 일들을 적고 업무를 시작한다. 이렇게 그날 그날 할 일들을 적었던 나에게 주간 업무 계획서는 신선하게 다가왔다. 그리고 실제로 사용해 본지 3주차 인데 저자가 말했던 주간 업무 계획의 장점들이 피부로 와 닿았다.
특히나 내가 하는 개발업무는 데드라인과 관련이 깊다. 데드라인이 언제까지 인데 막상 데드라인이 가까워 졌을 때 아직 해야 할 업무가 많아 야근으로 겨우겨우 데드라인을 맞췄던 적도 많았다. 하지만 주간 업무 계획을 사용하고 난 뒤로는 달라졌다. 이젠 마음 편안히 업무의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되었다.
그런데 이 업무 계획서는 뽀모도로와 결합하면 더욱 강력한 힘을 발휘하게 된다. 뽀모도로가 생소한 분들도 있을 거라 간단하게 설명하자면 25분간 일에 집중하고 5분간 휴식을 하나의 사이클로 하여 업무 시간 관리를 하는 것이다. 이 하나의 사이클을 뽀모도로라고 하고 4 뽀모도로 후 15분의 긴 휴식을 갖는다. 이것이 뽀도모로 시간 관리법이라 하는데 이를 주간 업무 계획서와 결합하면 업무의 효율성과 집중력을 동시에 얻을 수 있다.
잠재의식아 듣고 있다면 정답을 알려줘~!
창의력과 창의성 정말 말들이 많다. 특히나 노벨상 수상자들이 나오고 난 후 단골로 나오는 신문기사 타이틀은 ‘왜 국내에서 노벨상 수상자가 나오지 않는가’ 이다. 하지만 정작 나는 창의성과 창의력이라는 말에 솔직히 시큰둥하다. 사회에 나온 뒤 창의성이라는 단어는 멀게만 느껴지고 이제는 창의성이라는 능력을 키우는 것은 불가능 하다라고 느껴지기 까지 한다.
그러나 작가는 창의성의 정의와 유명인사들의 창의성에 대한 생각들로부터 창의성이 만들어지는 과정을 깔끔하게 설명하였다. 바로 ‘수 많은 생각들이 충돌하여 생성되는 결과물이 바로 창의성이다’ 라고 말이다. 그러면 우리가 해야 할 행동은 더욱 명확해 진다. 바로 수 많은 생각들이 충돌 할 수 있도록 일종의 장을 마련해 주면 되는 것이다. 작가는 그 장이 바로 메모라고 말하고 있다.
창의성을 부르는 과정에서 ‘우리 안에 있는 세 사람’ 이야기는 상당히 흥미롭다. 사실 나는 지켜보는 자(3차 프로세스)의 메시지를 받은 경험이 몇 번 있었다. 학부 시절 과제로 나온 수학 문제를 2주 내내 고민했던 적이 있다. 그런데 영화에서나 나올 법한 일이 생겼다. 꿈속에서 내가 그 문제를 풀고 있었다. 그래서 잠에서 깨자마자 풀었던걸 연습장에 옮겨 적었더니 정말 정확하게 풀었던 것이다. 그 때의 경험과 느낌은 아직도 잊을 수 없다.
현재 하고 있는 업무에서 창의성이 필요로 하는 부분은 크지 않다. 현재 개발하고 있는 부분은 단순 비즈니스 로직 구현이 많고 또 있다고 한들 현실적으로 시간 부족으로 오랜 시간을 두고 고민과 생각을 할 수 없는 상황이 많다. 하지만 이제는 업무에서 창의성을 발휘할 수 있는 부분이 있는지 찾아보고 있다면 작가가 언급했던 메모를 통해 해결할 수 있을 거라 기대해 본다.
쓸 때 독서는 내 것이 된다.
학부 시절 글쓰기 수업을 들었던 적이 있다. 그때 서평을 쓰는 것이 과제로 나왔었다. 그때 내가 좋아하는 ‘이지성’작가의 책을 읽고 서평을 썼었다. 5년이 지난 지금도 그때 썼던 서평과 책 내용이 어렴풋이 기억이 난다. ‘책이 술술 읽히네’ 하고 생각했던 책들은 겉 표지를 보면 읽었던 기억은 나지만 내용은 어땠는지 잘 기억나지 않는다. 독서 후 서평을 쓰고 안 쓰고의 차이는 매우 크다.
확실히 작가가 말한 메모리딩을 하게 되면 책을 대하는 자세부터 달라진다. 우리 안에 있는 세가지 사람에서 메모리딩을 고려하지 않았을 땐 ‘행동하는 자’만 책을 읽고 있다면 메모리딩을 해야겠다고 생각하는 순간 ‘반응하는 자’까지 책을 읽는다. 그래서 책의 내용은 물론이고 글의 전개나 흐름도 보게 되고 현재 독서를 하면서 내가 어떻게 느끼는지 어떤 생각을 하는지도 느낄 수 있게 된다. 이건 단순히 정보를 받아 들일 때와는 확연히 다르다. 수업도 듣기만 해서는 내 것이 되지 않듯 독서도 메모리딩을 해야 내 것이 된다.
다시 시작하는 블로그
한 때 나도 블로그를 운영했던 적이 있었다. 내용도 뒤죽박죽에 그냥 일하다가 알게 된 사실들을 복사하여 붙여넣기 해두고 필요할 때마다 찾아보는 식으로 운영했다. 말이 블로그지 그냥 나만 보는 글들을 저장하는 공간 정도였다.
하지만 그런 글도 관심을 가지고 봐주는 분들이 있었다. 더 나아가 감사하다는 코멘트를 남겨주신 분들도 있었다. 아무것도 아닌 건데 무척이나 기뻤던 기억이 있다. 블로그의 순기능과 피드백을 느끼는 순간이었다.
하지만 블로그를 꾸준히 운영한다는 건 역시나 쉽지 않다. 블로그는 꾸준함이 힘이다. 꾸준히 운영하여 컨텐츠가 쌓여야 블로그가 힘이 생긴다. 블로그에 힘이 생기면 독자가 생긴다. 독자가 생기면 다시 블로그를 운영할 힘이 생긴다. 작가가 언급한 대로 블로그는 초반의 적응기간을 넘기는 것이 어려운 것 같다. 또 실패할 지도 모르지만 다시 한 번 블로그를 운영해 보려고 한다.
메모는 길을 내는 것
이 도서를 읽고 내가 바로 한 행동은 적당한 크기의 메모 노트를 구매한 것이다. 너무 두껍지 않은 아니 얇은 노트를 구매 했다. 그리고 지금도 틈틈이 떠오르는 아이디어들을 적고 그림도 그린다. 작가는 책을 통해 나의 행동을 변화시켰으니 매우 영향력이 강한 책이었다고 평가 할 수 있지 않을까?!
나는 메모를 내 인생에 길을 내는 것이라고 정의하고 싶다. 메모를 통해서 내가 걸어온 길을 돌아 볼 수 있다. 그리고 이 메모를 같이 공유했을 때 훗날 나의 길을 걸어오려는 사람들에게 오기 편하게 해 줄 수도 있다. 쓰자, 그리고 공유하자.